2017년 5월 9일 화요일
[NHK에 어서오세요!] 히키코모리로 사는 누군가의 나날들, 한 학기 쉬고 돌아온 나의 생각들
시험기간에 유투브에서 짤막한 애니메이션 클립을 보게 되었다.
한 히키코모리 남자가 아버지의 입원으로 수입이 끊기자 배고픔을 견디다 못해 결국 돈을 벌기 위해 인력사무소를 찾아 일을 하는 내용.
그 영상이 인상에 강하게 남아서 이 애니메이션을 찾아보게 되었다.
24회 분량.
연출이 좀 신경쓰였지만 후반부로 가면서 괜찮아졌다.
마음에 안 드는 연출이라 함은, 쓸데없이 오버하는 인물들. 초반부 대화 씬들은 정말 못 만든다. 이 인물이 왜 여기서 소리를 지르는지 납득을 할 수가 없다.
[NHK에 어서오세요!]는 대학교를 자퇴하고 히키코모리 생활을 하던 사토 타츠히로가 미사키라는 미소녀의 히키코모리 탈출 프로젝트를 받아들이면서 일어나는 에피소드들을 다룬다.
유투브에서 봤던 장면이 언제 나오는가 했더니, 거의 끝부분쯤 가서야 나온다.
앞선 에피소드 중에 등장한, 타츠히로보다 더 심한 히키코모리 '토로토로'가 그제서야 유투브에서 보았던 영상과 겹쳐졌다.
동생에게 의존해 식사를 해결하던 그는 동생이 며칠간 집에 들어오지 않자 결국 배고픔을 못 이기고 아르바이트를 하게 된다.
심각한 히키코모리 둘이 히키코모리 생활에서 벗어나는 걸 보여주며 이 애니메이션은 이렇게 말한다.
"남에게 의존하더라도 의식주가 해결되어 살만하니까 히키코모리로 사는거다. 정말로 배고프고 절박한 때가 오면 사람은 일을 하게 되어 있다."
히키코모리가 실제로 많고 사회 문제로까지 오래 전부터 제기된 일본에서 히키코모리를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가 들려주는 얘기는 이렇다.
진짜로 절박한 상황이 올 때까지 더 빈둥거려도 된다는 얘기는 아닐 것이다.
더군다나 우리 삶에는 미사키같은 구세주도 없다.
극중 미연시 게임을 만드는 에피소드에서 미연시 게임의 특징을 간단하게 정리했는데, '무조건적으로 나를 사랑해주며 절대로 나를 배신할 리 없는, 실제로는 존재할 리 없는 여자'가 핵심이다. 그런 여자가 바로 타츠히로에게 다가온 미사키이다.
어쩌면 시청자들이 극중에서도 풀어 설명한 미연시 게임 플레이어와 같은 환상에 빠지지나 않았을까 걱정스럽다.
노력 없이 얻을 수 있는 사랑은 없다. 자신을 필요로 하는 누군가를 찾기 위해 공짜로 당신에게 다가오는 사람도 없다.
실제 히키코모리들과 동일시해볼 만한 캐릭터가 바로 미사키 없는 '토로토로'이다.
그렇다고 진짜 절박한 상황이 올 때까지 맘놓고 빈둥거리진 말자..
일부러 절박한 상황을 만들기 위해 입대를 한다든가.. 하는 건 아무래도 잘못된 생각인 것 같다.
내가 바라던 답을 주진 않았지만, 히키코모리로 사는 누군가의 나날들을 그렸다는 점에서 독특하고 마음에 와닿는 작품이었다.
지난 학기의 휴학은 그리 생산적이진 못 했고, 꾸역꾸역 결과물들을 만들어내야 하는 학교에 돌아온 나는 많이 우울해졌다.
이런 나의 미래는 어떻게 되는 걸까 고민을 많이 한다.
진짜로 폐인으로 살다가 밥이라도 먹으려고 인력사무소 나가는 나의 미래를 그려본다.
음.. 더 나은 삶을 살고자 하는 욕심을 못 버리겠어..
내가 사는 집, 내 통장에 꼬박꼬박 들어오는 용돈이 내 노력으로 얻은 것이 아니다 보니 어떻게든 내 능력으로 자립해 미래를 대비할 필요성을 느낀다.
하지만 동시에 몇 년동안은 이렇게 부모님에게 얹혀 살아도 될거야.. 하는 안도감도 있다.
외부의 요구에만 시계태엽 인간처럼 돌아갔던 내 삶은 자율성이 보장되는 대학에 떡 하니 던져지면서 생기를 잃었다.
사람들을 만나면서 자극을 받곤 하지만, 주위 사람들 없이 나만 있다면 정말 아무 일도 안 할지도 모른다.
내가 원하는 건 뭘까? 내가 하고싶은 일은 무엇일까? 내 직업으로 적당한 일은 무엇일까?
욕심은 있지만 이끌어주는 사람 없이는 나 스스로 일을 잘 못 한다.
내 여자친구는 나를 이끌어주는 사람은 아니다.
마지못해 나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 중 하나인 학점 때문에 끌려간다.
나는 더 이상 머릿속에 지식을 넣길 원치 않는다.
어느새 주위 동기들도 다들 열심히 공부를 하고 있다.
나 스스로 동력을 만들어낼 수는 없는걸까?
동력을 만들어내길 원치 않는지도 모르겠다.
이 지긋지긋한 고민에서 벗어나고는 싶다.
자살에 실패한 주인공을 벌레 보듯 대하는 인물의 반응에서 억울함을 느꼈다.
할 얘기가 떨어졌으니 과제하든지 자든지 해야겠다. 아무튼 요즘 했던 생각들이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