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2월 21일 일요일

<하늘을 걷는 남자> 페이스북에 올라온 친구의 친구의 감상문을 보고.


솔직히 말해서, 영화는 그저 그랬다.
한 남자의 꿈이 시작하고 그 꿈이 이루어지는 이야기. 한 사람의 꿈에 관한 이야기!
기대가 컸던 이 영화는 그냥 그저 그런, 쪼이는 맛이 무난한 하이스트 무비 정도로 내게 다가왔다.

딱히 할 말이 없어서 <하늘을 걷는 남자>는 본지 두달이 넘었는데도 글을 쓸 생각이 별로 안 들었다.
그래도 굳이 생각해 보자면,
F. 이미 성공한 남자가 들려주는 성공담이란?
F. 쌓아올리는 과정이 너무 쉬워
F. 클라이막스가 기대에 못 미친다
F. 주인공이 관객에게 말하는 방식
이런 식으로 노트에 짤막하게 저장해 놓았었는데, 어쩌다 페이스북에서 친구의 친구의 글을 보았다.
무슨 내용이었는지 잘은 기억이 안 나지만, <하늘을 걷는 남자>를 보고 나서 느낀 것들을 쭉 적은 글이었다.
음. 왜 나는 저런 느낌을 받지 못 했을까?

내가 거기에 답을 하자면, 아마도 영화를 너무 많이 봐서인 듯하다.
아까도 말 했지만, 내가 본 <하늘을 걷는 남자>는 그저 그런 영화다.
하지만 5년 전의 나였더라면 다르게 받아들였을 지도 모른다.
숱한 장르영화에서 보아왔기에 무감각하게 받아들였던 그 공식들을, 5년 전의 나는 신선하고 색다르게 받아들였을 지도 모른다.
다른 영화에서 본 것들의 반복, 반복을 느끼며 지루해하는 내가. 5년 전에는 <하늘을 걷는 남자>에 담긴 꿈과 노력에 대해 조금 더 생각해 보았을지도 모른다.

확실히, 영화를 많이 보면 무감각해진다.(어떤 한편으로는 예민해지지만.)
새롭고, 창의적이며, 틀을 깨는 영화들이 평단에서 환영받는 이유도 그때문일 것이다.
또 다시한번 말하지만 <하늘을 걷는 남자>는 그리 새로운 영화는 아니다.
하지만 이 영화를 새롭고 도전적인 방식의 영화라고 받아들이는 관객들도 분명 있을 것이다.
영화에 있어서 전문인이 되겠다고 다짐한 순간부터 그들과 나 사이엔 조금씩 벽이 놓이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꼭 그래야 할 필요는 없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그들과 똑같은 것을 느낄 수 없다는 사실이 나는 많이 슬프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