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10일 금요일

<컨택트> 신선한 각본. +고민 하나



관객을 한 쪽으로밖에 생각 못하게 속여놓고서 나중에 우쭐거리며 진실을 알려주는 영화.
나는 그런 식으로밖에 관객을 못 속이는 영화를 싫어한다.
하지만 <컨택트>는 그런 영화 치고는 너무 좋다.
왜 좋았을까.
거짓말하는 솜씨가 유난히 좋았던 걸까?
왜 나는 배신감을 느끼기보다는 감탄을 했을까?

더군다나 나는 이 영화의 반전이 너무 마음에 들었다.
숨겨진 사건이 드러나는 식의 반전이 아닌, 시간을 주무르는 신선한 반전이기 때문일까.
갑작스러운 반전도 아닌, 서서히 풀려가는 반전이었다.
그리고 그 반전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기도 한다.
물론 아쉬운 점은 있다.
인류의 화합.. 거창한 이야기를 하는 듯 했으나 결국엔 반전 그 자체에 찍히는 방점.
하지만 <컨택트>의 설계는 대체 어떻게 그런 발상이 가능할까 싶을 정도로 마법같았다.

이런 아쉬움은 뒤로하고나서도 영화 자체가 나는 좋았다.
<컨택트>는 놀라운 영화였다.
미지의 존재를 다루는 손길이 너무 좋았다.
적당히 공포스럽고 적당히 위협감을 주는 외계인의 모든 것..
주인공을 언어학자로 설정해 인간과 외계인의 소통을 주 내용으로 한 것도 재미있었다.

ㄹ. 그렇게 정보 공유를 해서 열두 곳의 쉘이 준 정보를 합쳐 얻어낸 것은 무엇이었나? 시간에 관련된 것. 대체 무엇인가?
ㄹ. 루이스가 미래를 볼 수 있다는 얘기를 과연 이안은 못 믿었을까? 또. 이안이 자기 말을 못 믿고 떠날 걸 알면서도 루이스가 그 말을 꺼낸다고? 그렇다고 그 말을 꺼내지 않으면 다른 이유로 떠났을텐데? 이혼의 이유를 미리 알고 있음에도 이혼할 수밖에 없었던 걸까?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미래의 모든 것을 알면서도 그 미래대로 그대로 흘러간다는 것은 모순이다. (내가 내일 돈까스를 먹을 거란 걸 안다면, 돈까스를 안 먹는 선택도 가능하다. 그렇다면 내가 내일 돈까스를 먹게 되지 않는다.)
ㄹ. 루이스가 한나를 보기 시작한 건 언제부터였나? 헵타포드어를 배우기 이전이 아니었나? 내가 기억하는 건 미래 시점에서 서술된 한나였나?



이 영화가 좀 어렵다는 평을 듣고 이 영화 어렵냐고 친구가 물었다.
그 말을 들으니 뭐라고 해야 될지 모르겠더라.
좋은 영화는 진지해질 수밖에 없는 걸까?
진지해지면 조용하고 느려질 수밖에 없는 걸까?
좋은 영화는 불친절할 수밖에 없는 걸까?
이러한 규칙들을 깨고 싶다.
씨네필과 일반 관객들 사이의 괴리를 어떻게든 줄일 수는 없는 걸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