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0월 27일 금요일
<소름> 차원이 다른 공포영화
아파트를 배경으로 한 영화가 너무 보고싶었다.
방 안에만 있는 시간이 매우 늘어나면서 아파트라는 공간이 특별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아파트를 무대로 한 공포게임을 가장 하고 싶었으나 구할 수가 없어 하지 못 했다.
대신 다 무너져가는 아파트를 배경으로 한 <소름>을 보았다.
<소름>은 일반 공포영화들과 차원이 다른 서정적인 공포영화이다.
깜짝 놀라는 장면이 없다. 공포영화니 억지로 끼워넣은 장면이 하나 있긴 한데 흐릿하게 보여 걱정할 것이 없다. 사람들을 놀래키는 장면 대신 이 영화는 인물들이 순간순간 느끼는 감정을 포착해내며 관객과 가까워지기를 택한다. 이로 인해 관객은 인물에 동화되어 작은 공포에도 예민하게 반응하게 된다.
그리고 귀신이라는 존재가 인물들의 입에 끊임없이 오르내리지만 결코 사람들의 눈 앞에 모습을 드러내지는 않는다. 사실 나는 귀신 이야기에 어둠 속에서 두려움에 떨어본 적은 있지만 실제로 귀신을 마주한 적은 없기 때문에 이런 공포가 더 익숙하고 마음에 든다. <소름>은 이런 식으로 실제로 사람들이 누구나 느껴본 적 있을 마음 속 어딘가의 공포를 건드린다.
또 배경인 아파트의 생김새가 너무 강렬하다. 우리나라에 아파트가 처음 지어지기 시작하던 때에 만들어져서인지 복도 양 옆에 집들이 붙어있고 맨 끝이 뻥 뚫려있는데 빛은 안 들어온다. 그래서 낮에 인물을 찍으면 복도는 어둡고 뒤편에는 햇빛이 보이는 특이한 분위기가 연출된다. 아파트 벽에는 때가 줄줄 흐르고, 전단지와 테이프, 스티커가 덕지덕지 붙어있다. 집 내부 또한 벽지가 오래되고 창이 낡은 종이로 되어 있다. 화장실엔 타일 하나도 붙어있지 않다. 게다가 아파트 벽이 얇아서인지 빗소리, 사람들이 싸우는 소리, 밤에 술취한 이웃이 우는 소리, 남녀가 섹스하는 소리까지 다 귀에 들어온다. 도저히 사람이 살 수 있을 만한 공간이 아닌 것 같은 이 곳이 영화의 진정한 주역이라 말하고 싶다. 로케이션이 영화의 절반 이상을 해냈다!
김명민, 장진영 두 배우 또한 광적인 연기력을 보여준다. 말로 설명하는 것이 필요없을 정도로 이 둘은 각자의 배역에 깊이 몰입해 충격적인 장면들을 만들어냈다. 바로 주인공 한 명이 상대방과 언쟁이 격해지다 결국 죽이게 되는 롱테이크 씬이다. 멀쩡히 소리내어 말하고 움직이던 사람이 그대로 죽음에 처하기까지의 과정을 담은 처참한 장면이다.
단 하나 따라가기 어려운 지점은 아파트에 얽힌 괴담의 실체이다. 인물관계를 억지로 조성한 것 같으면서도 말이 조금은 되고.. 이러한 설정이 있었기에 의미를 가지는 장면들도 있는데.. 공포스럽기보다는 그저 하나의 반전요소에 지나지 않는 느낌이다.
하지만 간만에 수작 공포영화를 만났다. 그것도 국산 공포영화를.
공포영화답지 않게 느릿느릿하게 흘러가던 이 영화에서 느낀 공포를 나는 다른 영화들에서도 만나보고 싶다.
호러영화가 곧 깜짝 놀래키는 영상으로 굳어져버리는 게 너무 안타까울 따름이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