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7월 10일 일요일

<활> 어쩌면 김기덕의 이상향



김기덕의 영화에서 난 힘을 느낀다. 집중력있게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는 힘 말이다. 김기덕의 영화 내용을 좋아하지 않으면서도 싫어할 수 없는 건 바로 이 때문이 아닐까. 작년부터 영화에 집중하는 게 어려웠는데 김기덕의 다른 영화들도 찾아보면서 집중력을 다시 키워볼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 영화는 육지와 단절된 배에서 살아가는 소녀와 노인 남성의 이야기이다. 노인은 소녀가 나이가 차서 혼인하기를 기다리고 있다. 이야기는 노인의 보금자리를 떠나려는 소녀 입장에서 주로 그려지지만, 나는 노인 쪽에 더 감정을 이입해서 보았다. 소녀는 행동에 분명한 이유가 제시되는 단순한 인물이다. 하지만 노인 쪽은 그렇지 않다. 노인이 소녀를 씻기고 성행위를 하지 않은 이유가 난 궁금했다.

육지에서 온 사람들이 노인을 이상하게 생각하는 정도로 노인의 행동에 윤리적인 문제가 있음은 제시된다. 그러나 <활>의 포인트는 이 이상한 내용을 아름답게 그리고 있다는 점이다. 이 영화의 '아름다움'은 아름다운 배경음악으로 표현되다가 마지막에 이르러서는 활처럼 살고싶다는 다소 쌩뚱맞은 자막에서 최고조를 이룬다.

팽팽함에는 강인함과 아름다운 소리가 있다.
죽을 때까지 활처럼 살고 싶다.

노인을 소녀에게 마냥 해악을 가하지 않는, 어찌 보면 순정파에 속하는 인물로 설정한 것은 정말로 김기덕이 이 이야기를 긍정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나는 노인의 순진한 캐릭터에 김기덕을 대입해 이 영화를 그가 그려낸 판타지 즉 이상향으로 생각했다. 김기덕의 애절한 목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나는 죄인이지만 이렇게 해서까지 너를 사랑하겠어. 무시무시한 고백이 아닐 수 없지만 내가 봤을 때 이것이 김기덕의 진심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