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1월 11일 금요일

<늑대아이> 호소다 마모루의 육아



1. 어느 시점에서 하는 건지 모를 내레이션이 깔리면서 이야기가 순조롭게 진행되다 결국엔 그 내레이션의 시점까지 가서 영화가 끝이 난다.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보았다. 과연 내레이션의 시점은 어디일까?라는 궁금증을 이용하는 플롯으로 영화를 만들어 보아도 좋을 것 같다. 긴 러닝타임을 체감상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 같기도 하다.

2. 활동적인 성격의 여자아이는 어린 시절에 자신이 늑대라는 정체성을 지니고 있었지만 점차 시간이 지나며 자신이 늑대이기 때문에 누군가에게 상처 주는 일을 겪으며 인간의 길을 택하기로 한다.
조용한 성격의 남자아이는 어린 시절에 자신이 인간이라는 정체성을 지니고 있었지만 점차 시간이 지나며 자기 안의 야생성을 느끼고 늑대의 길을 택하기로 한다.
우리 인생도 많은 변화 끝에 이렇게 온 것은 아닌지. 인생에 관한 통찰이 돋보였다.
소수자성에 대해서도 영화를 읽어볼까 싶었지만 감흥을 굳이 논리로 바꾸기 싫으니 다음으로 미루자.

3. 호소다 마모루의 <늑대아이>와 <괴물의 아이>는 환상적인 이야기에 상징성을 부가해 현실적인 이야기를 하는 것 같으면서도 결국엔 환상적으로 끝이 난다. 부담 없이 보기 좋으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4. 온 가족이 보기 좋은 영화.

5. 호소다 마모루의 부드러운 그림 때문에 이 영화가 보고 싶었다. 디지몬 어드벤처 극장판도 다시 봐야겠다.

6. 클라이막스가 클라이막스 아닌 것처럼 다가온다. 뒤돌아보니 클라이막스였다. 부담스럽지 않게 다가가는 것도 정말 큰 재능인듯.

댓글 없음:

댓글 쓰기